캐드에서 객체를 선택하면 상단의 리본이 객체의 유형에 맞게 자동으로 변하게 되는데 가끔 이게 불편할 때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객체 선택에 따른 상황별 리본을 비활성화 할 수 있는데 2025 버전까지는 시스템 변수 RIBBONCONTEXTSELECT(1) → 0 으로 하면 비활성화 되고 2026 버전부터는 시스템 변수 RIBBONCONTEXTSELLIM(2500) → 0 으로 비활성화 하면된다. 괄호안은 시스템 변수의 기본값 2026년 버전의 경우 기본값이 2500으로 2500개의 객체까지는 인식을 할 수 있다는... 뭐 그런 이야기인것 같은데 어차피 비활성화 할거라서 무시하면된다. 위처럼 시스템변수를 변경해도 해치는 상황별 리본이 활성화 되어 있는데 이마저 비활성화 하려면 CUI를 수정해야한다. 사실 ..

간혹 text 명령어로 작성 된 객체의 내용을 수정하고자 할 때 객체를 더블클릭하거나 ED (DDEDI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수정명령어가 입력되면 TEXT 객체의 테두리가 활성화 되면서 TEXT를 수정할 수 있게됩니다. 간혹, 객체의 내용을 수정을 하는데 명령어 종료가 되지 않을 때가 있어서 당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키보드 우측 ALT 키와 CTRL 키 사이의 메뉴키를 누르면 명령어가 종료 됩니다. (안될 수도 있습니다.;;;;;;;) 하단 사진에 마우스 커서가 보이는 키입니다.
네이버에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darkwalker(darkwalk77)라는 분께서 개발하신 프로그램입니다. 상업적 용도도 사용가능한 Freeware이며 개발자가 직접 소스를 공개한 프로그램입니다. https://blog.naver.com/darkwalk77 도면작업 시 파일명 일괄변경 등의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특정문자를 찾아 다른 문자로 교체 파일명 앞과 뒤에 문자열 입력 등입니다. 파일명 변경을 다 하시고 작업반영을 하셔야 실제로 변경이 됩니다. 변경되는 속도는 수기로 변경하는 것에 비교하면 빛의 속도와 가깝습니다. 다만, 일괄변경이다 보니 파일명 변경에 있어 한 두개의 파일을 우선 테스트 한 후 전체 작업하길 추천드립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하여 별도의 소개는 ..
본 포스팅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캐드에서 열려있는 파일간에 객체 혹은 블럭을 복사하기 위하여 Ctrl+C,V를 자주 이용하실겁니다. 블럭의 경우 옮기고자 하는 블럭이 목적지가 되는 파일에서 동일 블럭이름을 가지고 있으면 목적지에 있는 블럭으로 붙여넣기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객체의 경우(pline, line, circle 등)는 그러한 속성을 갖지 않음에도 복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아는 동료들이 별로 없어서 인터넷 검색을 찾아 몇가지를 실행한 결과 나름대로의 현상의 원인과 조치법을 찾았기에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선, 제가 아는 전통적인 해결방안은 복사가 되지 않는 객체를 wblock이나 새창에 복사한 후 이를 dxf로 변경하여 목적지가 되는 도면에 i..
캐드에서 기본적으로 객체를 선택할 때 문제가 되는 몇 가지의 원인은 1) option → selection → Noun/verb selection 의 문제 2) 시스템 변수 pickfirst 의 문제이다. 두가지 모두 객체를 선택하고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느냐이다. pickfirst → 0 일 경우 Noun/verb selection 가 해제가 되고 pickfirst → 1 일 경우 Noun/verb selection 가 활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opy on base를 할 경우 (shift +ctrl+c) 객체를 선택하고 베이스 포인트 지정하는게 일반적인데 베이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객체를 선택되는 상황의 경우가 문제이다. 이런 경우 경험상으로 2가지의 증상이 병행되는데 1) 객체를 선택 한 후..
증상: Model 창이나 Layout 창에서 글자(문자, text)가 두껍게 나오는 경우 Model 창에서는 글자가 제대로 보이는데 Layout 창의 Mview에서는 두껍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제 나름대로 짐작컨데 View와 관련된 명령어가 3d veiw와 관련되어 작동되어서 이런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Orbit가 실행되었던적이 있다든지의... (shift 키를 누르고 휠마우스를 누른체 마우수을 돌리면 3d view를 볼 수 있는...) 캐드에는 View(시점)과 관련된 다양한 명령어가 존재합니다. 캐드에서 대부분의 작업은 평면, 입면, 단면 등의 2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경우가 많음으로 View와 관련된 명령어가 자주 사용되..
경험상으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순으로 해결방법을 기술하였습니다. 해결방법-1 1. Windows Vista/Windows 7/Windows 8 및 8.1/Windows 10 C:\ProgramData\FLEXnet의 폴더에 들어가서 adskflex_xxxx.data 과 같은 형식의 파일을 삭제 후 실행 # 위의 파일은 숨김파일 표시를 활성화해야 볼 수 있음 #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여 해당 파일을 임의 폴더로 옮긴 후 삭제하고 캐드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경우 옮긴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추천함 해결방법-2 1. msconfig 실행 2. 서비스 탭 클릭 3. 하단의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 체크 (이는 서비스 개수가 너무 많아서 하는 단계임) 4. FlexNet Licensing Servic..
* 해치(hatch)의 기본값을 고정시키는 방법 01. 캐드가 설치된 폴더의 Supports 폴더 안의 acadxxxx.lsp 파일에 (setvar "HPNAME" "SOLID") 라는 문구를 넣어주면 됩니다. 02. 만약 그래도 변경되지 않는다면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02-1. 커맨드창에 AP를 입력 02-2. 추가 버튼을 누른다. 02-3. (setvar "HPNAME" "SOLID") 라는 문구를 입력한 파일을 업로드 한다. 02-4. 이렇게 추가된 리습과 기타 어플리케이션은 CAD를 재시작해야 작동됩니다. 바로 하려면 02-1. 창에서의 해당 파일을 로드(Load)를 하면 됩니다.
캐드 해치 제작의뢰 받습니다. 다만 소정의 사례금을 받습니다. 캐드 해치로 무슨 돈을 받겠냐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계겠지만 조경 설계업에 종사한 직장인인지라 잦은 야근과 주말출근에 시달리다보니 나름의 보상이 없으면 이것도 귀찮은 일이더군요. 해치제작을 통해서 부귀영화를 바라지 않습니다. -ㅅ- 이점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제작가능한 해치는 직선으로만 된 해치만 가능합니다. 직선으로 제작하여 사용되는 해치의 용도는 조경의 바닥포장과 건축물 입면의 모듈정도가 될 듯합니다. 사선, 곡선, 랜덤, 다각형이 혼재된 해치는 사실상 제작의뢰를 받지 않습니다. 우선 해치의 제작원리는 해치를 이루는 라인의 각도, 시작점, 끝점의 좌표와 반복되는 구간의 길이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좌표와 거리를 하나하나 지정을 해주다보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캐드 # 텍스트 오류 #텍스트 편집기 종료 오류 #텍스트 편집기 종료 안될 때
- 세움터 오류
- 파일명변경 #도면명변경 #Dark namer
- 캐드 상황별 리본 비활성화 #캐드 객체 선택 리본
- 선택 해제
- 우선구매대상
- pickfirst
- 관급자재
- 공사용자재 직접구매
- 캐드 텍스트 두껍게 # cad text bold
- 배관의 접합 방법
- 대지의 조경
- 조경 #도시공원 #도시공원법
- AUTOCAD 복사
- 캐드 복사 안될 때
- 캐드 바로 종료
- 캐드 오류
- 관급자 설치 관급자재
- 도급자 설치 관급자재
- 직접구매 대상
- 공동주택 생활폐기물 설치기준
- 아파트 생활폐기물
- ctrl +c
- 캐드 바로 꺼짐
- 캐드 선택
- 공동주택 생활 폐기물
- 캐드
- 오토캐드 복사 문제
- qaflags
- 도급자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